인플레이션 정리 및 대비책
1.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 정의
1) 인플레이션이란??
-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경제 현상
-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현금이나 현금에 준하는 자산이 하락하게 된다.
- 인플레이션이 높을때는 금이나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2) 디플레이션이란??
-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경제의 한 부문에서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은 X)
ex)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하지는 않는다는 의미(경제 전반적으로 하락해야 디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율이 0% 이하이면 디플레이션이라고 부른다.
- 디플레이션이 높으면 주가는 하락하고 부동산 가격도 하락한다.
- 디플레이션이 높을때는 현금이나 현금에 준하는 자산이나 안전한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다.
3) 스테그플레이션이란??
-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 +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친 말
** 경기침체: 국내총생산량이 6개월 이상 감소될 때는 말한다.
2.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들
1) 수요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 수요는 크게 늘어나는데 그것에 맞추어 공급량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인플레이션
ex)가계에 돈이 많아지면 소비가 늘어나는데 그만큼 물건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 이를 과잉 유동성 공급이라고 한다.
** 유동성: 기업의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화폐로 바꿀 수 있는 안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경제학 용어
2)비용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 제품의 생산비용이 오르면 제품 가격도 함께 올라서 전반적인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
ex) 수입하는 석유 값이 오르면 석유와 관련된 제품은 모두 오르게 되는 경우
3) 단순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생산성으로 인한 공급의 부족
3.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
- 이번에 22년1월부터 23년 3월까지 물가상승률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물가지수 항목별로 정리를 해보았다.
-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하여 얼마나 올랐는지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각종 물건의 가격을 조사한 지수(품목은 480개)
**근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中 농산물이나 원자재처럼 가격변동이 심한 것들을 제외하고 소비자들이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것들을 모아서 계산한 지수
**생활물가지수 : 150개의 품목만 조사하고 시민들이 자주 구입하는 것들을 위주로 편성한 것이 특징(실생활의 물가를 잘 반영)
4. 인플레이션에서 내 화폐가치는 어떻게 될것인지??
- 현재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어 화폐가치는 점점 더 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에 내가 놀랬던 점은 몇일 전 가족들이랑 저녁먹고 아이스크림 할인점에서 붕어싸만코를 사먹었는데 몇달 전까지는 1000원이었던 것이 1200원으로 올랐다는 것이다. 가격으로 보면 200원이 올랐는데 1000원기준으로 보면 20%나 상승했다는 점에서 나한테는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그리하여 나는 예적금만으로는 미래 노후대비를 전혀 할 수 없다고 느꼈고, 현재 공부중인 부동산에 대해 열심히 기본과 투자 마인드를 키워서 나에게 맞는 투자를 하루빨리 시작해야 겠다고 마음을 먹게 되었다.
5. 인플레이션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
- 투자 공부 열심히 하기(부동산)
-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비고정비에서)
- 투자금 만들기
- 재테크/경제 관련 서적 읽고 블로그 정리